본문 바로가기
돌아다니기

전주 경기전 전주사고 어진박물관 방문 후기

by 페르'소냐' 2025. 4. 3.
반응형

 

 

 

전주 맛집 베테랑 칼국수 맛집

 

전주 맛집 베테랑 칼국수 맛집

상암 샤브샤브 소담촌 수색상암DMC점 월남쌈 해물 샤브샤브 맛집 상암 샤브샤브 소담촌 수색상암DMC점 월남쌈 해물 샤브샤브 맛집죄책감은 좀 덜하면서도 매우 배부르게 먹고 싶다면 아무래도

sonadory.tistory.com

 

 

 

식사를 마치고 전주에 가면 무엇을 보는 게 좋을까? 고민하다가 J가 경기전을 한바퀴 둘러보는 게 어떻느냐고 추천해 줘서 경기전을 가게 되었다

그 안에는 전주사고와 어진박물관 등이 있었는데 꽤 알찼던 방문기를 적어보고자 한다

 

 

전주 경기전 전주사고 어진박물관 방문 후기

 

 

1) 경기전이란?
2) 어진박물관

 

 


 

위치: 전북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44

운영시간: 09:00-18:00 (계절따라 운영시간이 변경될 수 있으니 확인 필요)

 


 

 

1) 경기전이란?

 

 

전주 경기전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어진(초상화)를 모신 곳이라고 한다

어진이란 왕의 초상화를 뜻한다

 

경기전에는 어진뿐만 아니라 어진박물관이라고 하여 어진을 만드는 방법, 관련 자료 및  역대 조선 왕들의 어진 등을 전시해 놓은 곳이 있다고 하여 가족여행 또는 수학여행으로 방문하기 좋은 곳이었다

 

왜 '경기'일까? 검색해 보았는데

전주 이씨가 왕의 성씨이다 보니 그의 본관인 전주 이 터를

'경'사스러운 터(기)라고 하여 경기전이라고 지었다고 한다

 

 

일단 들어가려면 티켓이 필요한데 성인 기본요금 3천원이다

 

우리는 4명 입장료를 한꺼번에 결제했더니 이렇게 티켓 한장만 주셨다..ㅋㅋ

만약에 각자 보관하고 싶다면 각자 결제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청소년/대학생/군인은 2천원

어린이는 1천원이며

전주시민은 1천원 이하로 관람할 수 있다

 

 

들어가서 바로 중앙에 위치한 정전으로 가면 태조 이성계의 어진이 자리하고 있다

왜 이렇게 초라하게 전시되어 있지..?

외국인들도 와서 보는데 내부가 휑하고 아무것도 없었다

아무래도 오래된 건물이다 보니 낡은 느낌을 떨칠 수 없었는데

 

다행히 오리지널 어진(원본은 아니며 마지막으로 복원한 것)은 어진박물관 내에서 보관 중이었다

그래도 이것만 보는 사람들도 있는데 조금 더 신경 써서 관리를 해 줬으면 어땠을까 하는 마음

 

 

2) 어진박물관

 

 

경기전 내를 돌아다니다 보면(꽤 넓음)

한쪽에 어진박물관이 나온다

입장료 3천원 냈는데 안 보고 그냥 갈 수는 없지

 

 

 

내부에 영상관도 있는데 사실 영상은 계속 집중해서 보느라 따로 찍은 건 없다

영상은 약 5분 정도로

일월오봉도와 어진화사를 보여 주는데

 

일월오봉도는 일월오봉도 그림에 움직임을 더해 당시 조선의 사계절을 간접적으로 구경할 수 있게끔 해 주었다

사실 여기까지는 흠 그렇군 하고 다리나 쉴겸 보았는데

 

어진화사가 너무너무 흥미로웠다

실제 어진을 그리는 과정이 나오는데 밑그림 작업부터 채색 그리고 금을 도포하는 것을 보면서

정말 웬만한 정성으로는 임금의 얼굴을 담을 수가 없구나 하는 감탄이 들었다

시간이 된다면 꼭 한번 보시기를

 

특히 채색을 비단 위에 하는 것이나 금을 바르듯 입히는 과정은 정말 화려하고 멋있었으며

완성본을 보는데 고귀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냥 경기전 정전 내의 어진만 보았다면 절대 느낄 수 없는 느낌이었다

 

 

그래서 어진박물관 내에 보관되어 있는 오리지널(원본은 소실되었으며 마지막으로 복원된 것) 태조 이성계의 어진

유리로 앞이 막혀 있으며 채색이 좀 더 진하게 되어 있다

 

아무래도 정전의 어진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색이 바랜 느낌이 있었다

 

 

어진이 제작된 시기는 오른쪽에 적는다고 한다

 

 

다른 조선 왕들의 어진을 보러 가기 위해 자리를 옮겼다가 재미있는 글을 보았다

 

태종은 털끝 하나라도 다르면 본인이 아니라고 하여 어진을 없애라고 명령했으며

그 아들인 세종은 아빠 말을 안 듣고 그 어진을 보관하였다고 한다 ㅋㅋ

 

인종은 죽을 때까지 어진을 그리지 말라고 하여 남겨진 어진이 없다고

 

또 연산군과 광해군처럼 쫓겨난 왕들은 어진이 제작되었는지 아닌지 알 수 없으며

패셔니스타 정조는 다양한 복장으로 어진을 여러 장 남겼다고 한다

 

이러한 글들을 보면 왕들의 캐릭터가 보인다

 

 

세종대왕님의 어진

 

가장 확대하여 촬영하였다

존경합니다

 

 

정조이다

역시 화려하다

 

얼굴에 총명함이 보였다

 

반대로 철종의 어진은 매우.. 바보 같았으며 그에 관한 일화에 신빙성을 더해 주는 얼굴이었다

철종 쏘 쏘리

 

 

원래 경기전은 일제강점기에 철저하게 파괴되었다고 한다

현대에 들어 경기전이 다시 세워지게 되었고 전주사고나 어진박물관 등이 들어올 수 있게 되었다고

 

 

어진에 채색을 하던 도구들 또한 옅볼 수 있는데

붓이 정말 가늘어 사람의 털과 땀구멍까지 모두 하나하나 묘사할 수 있다

 

 

 

이외에 실록들을 보관한 전주사고도 볼 수 있었다

조금 작아서 아쉬웠지만 시원한 곳이었다 ㅋㅋ

대신 가파른 계단을 타고 올라가야 해서 조심할 필요가 있었다

 

또 민속촌처럼 직접 절구를 찧는 등의 체험을 할 수 있는 곳도 있었고

포토존도 구석구석에 있어서 사진도 많이 찍고 왔다

 

보통은 방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막아 놓는데 여기는 신발을 벗으면 들어갈 수 있어서

방 안쪽에 앉아 정말 사는 사람들처럼 사진도 찍어 보고

꽃 구경 나무 구경도 하며 즐겁게 시간을 보냈다

 

3천원 안 아까우니 꼭 방문해 보시길!!

 

 

https://naver.me/x1VvpWnl

 

네이버 지도

전주경기전

map.naver.com

 

 

반응형